ENTJ의 자기개발 기록지
실패하는 사람들의 10가지 습관 본문
조금 색다른 이야기를 해보려 해요. 많은 사람들이 성공을 하기 위해서 책을 읽고 노력을 하지만, 실제로 성공한 사람들은 극소수이죠. 모든 사람들이 성공을 위한 책을 읽는다고 일론 머스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잖아요. 그런데 제가 읽은 책은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책 이름도 '실패하는 사람들의 10가지 습관'이죠, 꽤 직관적입니다. 사실은 11가지의 습관이 있긴 합니다만...
이제부터 실패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고, 반면교사로 삼아야하는 11가지 습관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1. 모험은 하지 마라
창업보다 성공한 위치에서 도전하는 것이 더욱 어렵습니다. 코닥, 제록스와 같이 성공 신화에 도취되어서 변화를 주지 못해 망한 기업들이 많습니다.
2. 입장을 절대 바꾸지 마라
환경이나 상황이 변하였을 때 사람또한 변해야 합니다. 기업 또한 상황에 맞게 유동성을 가져야 합니다.
펩시콜라가 차별화된 양과 가격으로 치고 올라옴에도 코카콜라는 기존 방식을 고수하려고 했고, 결국 위기를 맞았습니다.
3. 자기 자신을 격리시켜라
으리으리한 방 안에서 혼자 있는 CEO보다는 직원과 동화되고 나쁜 소식을 귀기울여 듣는 CEO가 훨씬 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됩니다. 좋은 소식을 듣는것을 지양하고, 나쁜 소식을 들으려고 합시다.
4. 한 치의 오류도 없는 사람인 척 해라
자신이 오류가 없다고 확신하면서 완고하게 버티면 찾아오는 기회를 놓치거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잘못을 다른 사람들에게 돌리지 말고 자신의 잘못임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역 사업을 확대할 때는 자신에게 오는 몇페이지 보고서보다 그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의견이 훨씬 정확하다.
5. 법은 정도껏 지켜라
사람과 거래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입니다. 정직하게 함으로써 남들에게 신뢰를 얻어야 관계를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처럼 기업에서 부정부패를 장조하면 계속 부정부패가 일어나 나중에는 치명적인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6. 생각할 시간을 갖지 말라
첨단과학기술의 시대에서는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받는데, 이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수정함으로써 자료가 현실을 왜곡할 가능성도 있고, 편향된 시각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업이 스스로의 자료를 왜곡해서 현실을 좌시해서는 안됩니다.
계속 정보 속에서 헤엄치는것 보다는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다.
7. 전문가와 컨설턴트를 무조건 믿어라
전문가들이 호언장담하는 일들이 현실로 이어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전문가들의 의견을 맹신하였을 때 망하였던 일들도 많았죠. 소위 ‘예언가‘들은 자신의 예측이 틀렸을 때도 자신의 부족을 인정하지 않고 외부 탓으로 돌리려고만 합니다.
코카콜라에서 추친한 ’뉴코크‘의 실패는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전문가들의 낙관적인 의견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8. 관료주의를 사랑하라
많은 직장인들이 직장을 그만두는 이유는 관료주의에 신물이 났기 때문입니다. 직장에서 관료주의 때문에 종이나 클립 하나를 가져가는 일 또한 다른 사람들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아첨을 떨어야 하죠.
9. 햇갈리는 메세지를 전달하라
일관성 없는 혼란스러운 메세지는 기업의 경영에 큰 타격을 준다. 사실 이 습관은 저에겐 잘 와닿지 않았습니다.
10. 미래를 두려워하라
미래에 대해서 낙관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비관주의적 생각은 행동의 대부분을 마비시켜서 생산성과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죠.
"최악의 시나리오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면서 낙관적인 마인드셋을 가져야 합니다.
11. 마지막 습관: 일에 대한 당신의 열정을 상실하라
현재 직장인들의 30%는 일에 대한 회의감과 경멸감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합니다. 일에 대해서 사랑과 열정을 가지게 되면 효율성과 생산성이 필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일에 대한 열정을 기르는 방법은 고객, 브랜드, 사람, 꿈에 모든 정신을 쏟는 것이죠.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과 잠에 깊이 숨겨진 심오한 비밀 (1) | 2024.01.05 |
---|---|
세상을 선도하는 정보의 바다 '빅 데이터'의 숨겨진 비밀 (2) | 2024.01.04 |
전자상거래의 거인, 아마존의 혁신과 도전 (2) | 2024.01.01 |
알고리즘의 마법사, 구글의 신화적인 정보 집대성 (1) | 2023.12.31 |
‘1분만 보려 했는데 한 시간’… 학생들을 사로잡는 마약 인스타 릴스와 유튜브 쇼츠 (4) | 2023.12.30 |